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논어 위정편 24절 – "의로운 일을 보고도 행동하지 않으면 용기가 없는 것이다"(見義不爲, 無勇也) 논어 위정편 24절 원문과 해석📖 원문子曰 非其鬼而祭之 諂也 見義不爲 無勇也(자왈: 비기귀이제지 참야, 견의불위 무용야.)📜 해석공자께서 말씀하셨다."자신과 관련 없는 귀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은 아첨하는 것이며,의로운 일을 보고도 행동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진정한 도덕과 용기란 무엇인가?" – 공자의 핵심 메시지공자는 이 구절을 통해 "진정한 도덕은 형식이 아니라 실천에 있다."고 강조합니다.이 구절의 핵심 개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비기귀이제지(非其鬼而祭之), 참야(諂也)" – 의미 없는 제사는 아첨일 뿐이다공자는 "진정한 제사는 조상과 관계가 있는 사람에게 지내야 한다."라고 말합니다.남들이 보기에 신앙심이 깊어 보이기 위해 겉으로만 제사를 지내는 것은 위선(僞善)과 아첨(.. 더보기
논어 위정편 23절 – "미래는 과거의 변화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其或繼周者 雖百世可知也) 논어 위정편 23절 원문과 해석📖 원문張問十世可知也 子曰 殷因於夏禮所損益可知也 周因於殷禮所損益可知也 其或繼周者 雖百世可知也(장문십세가지야? 자왈: 은인어하례소손익가지야, 주인어은례소손익가지야, 기혹계주자 수백세가지야.)📜 해석자가가 물었다."십 세대 후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습니까?"공자께서 대답하셨다."은나라는 하나라의 예법을 계승하면서 변화를 주었고,주나라는 은나라의 예법을 계승하면서 변화를 주었다.그러므로 주나라를 계승하는 국가도 그 변화를 분석하면,백 세대가 지나더라도 예측할 수 있다.""역사를 보면 미래를 알 수 있다" – 공자의 핵심 메시지공자는 역사는 단순한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미래를 예측하는 열쇠라고 보았습니다.이 구절의 핵심 개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은인어하(殷因於夏)" –.. 더보기
논어 위정편 22절 – "신뢰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人而無信, 不知其可也) 논어 위정편 22절 원문과 해석📖 원문子曰 人而無信 不知其可也 大車無輗 小車無軏 其何以行之哉(자왈: 인이무신, 부지기가야? 대차무예, 소차무월, 기하이행지재?)📜 해석공자께서 말씀하셨다."사람이 신뢰가 없으면,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는가?마치 큰 수레에 멍에(輗)가 없고, 작은 수레에 가로막대(軏)가 없다면,그것이 어떻게 나아갈 수 있겠는가?""신뢰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 공자의 핵심 메시지공자는 "신뢰(信)는 인간관계와 사회의 근본"이라고 강조했습니다.여기서 중요한 개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인이무신(人而無信), 부지기가야(不知其可也)" – 사람이 신뢰가 없으면 어떻게 살겠는가?신뢰(信)는 인간관계의 기본이며, 사회를 유지하는 필수 요소이다.신뢰가 없는 사람은 결국 주변 사람들에게.. 더보기
논어 위정편 21절 – "효와 우애를 실천하는 것이 곧 정치이다"(孝乎惟孝) 논어 위정편 21절 원문과 해석📖 원문或謂孔子曰 子奚不爲政 子曰 書云 孝乎惟孝 友于兄弟 施於有政 是亦爲政 奚其爲爲政(혹위공자왈: 자해불위정? 자왈: 서운 효호유효, 우우형제, 시어유정, 시역위정, 해기위위정?)📜 해석어떤 사람이 공자에게 물었다."선생님께서는 왜 정치를 하지 않으십니까?"공자께서 대답하셨다."서경(書經)에 이르기를,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하는 것이 정치의 근본이다'라고 했다.이것이 정치가 아니겠는가?그렇다면 내가 굳이 따로 정치를 해야 하겠는가?""효와 우애가 정치의 근본이다" – 공자의 핵심 메시지공자는 정치란 단순히 법과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윤리적 실천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이 구절의 핵심 개념을 살펴보겠습니다.1. "효호유효(孝乎惟孝.. 더보기
논어 위정편 20절 – "백성을 존경과 충성으로 이끌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臨之以莊則敬) 논어 위정편 20절 원문과 해석📖 원문季康子問 使民敬忠以勸 如之何 子曰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계강자문: 사민경충이권 여지하? 자왈: 임지이장즉경, 효자즉충, 거선이교불능즉권.)📜 해석계강자가 물었다."백성들이 지도자를 존경하고 충성을 다하며 열심히 일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공자께서 대답하셨다."엄숙한 태도로 대하면 존경을 받고,효도하고 자애로운 태도를 가지면 충성을 얻으며,유능한 사람을 등용하고 부족한 사람을 가르치면 백성이 스스로 노력할 것이다.""지도자의 태도가 백성의 태도를 결정한다" – 공자의 핵심 메시지공자는 지도자가 백성(또는 조직 구성원)에게 존경받고 충성을 얻기 위해 가져야 할 세 가지 핵심 원칙을 제시했습니다.1. "임지이장즉경(臨之以莊則敬)" – 지도자가.. 더보기
논어 위정편 19절 – "올바른 사람을 등용하면 백성이 따르고, 그릇된 사람을 등용하면 따르지 않는다"(擧直錯諸枉) 논어 위정편 19절 원문과 해석📖 원문哀公問曰 何爲則民服 孔子對曰 擧直錯諸枉 則民服 擧枉錯諸直 則民不服(애공문왈: 하위즉민복? 공자대왈: 거직조제왕 즉민복, 거왕조제직 즉민불복.) 📜 해석애공이 물었다."어떻게 하면 백성이 따르겠습니까?"공자께서 대답하셨다."곧은 사람(正直한 사람)을 등용하여, 그릇된 사람(枉曲한 사람) 위에 두면 백성이 따를 것입니다.반대로 그릇된 사람을 등용하여 올바른 사람 위에 두면 백성이 따르지 않을 것입니다.""바른 사람을 등용해야 백성이 따른다" – 공자의 핵심 메시지공자는 리더가 어떻게 인재를 등용하느냐에 따라 조직과 사회의 신뢰가 결정된다고 강조했습니다.이 가르침의 핵심 요소를 분석해보겠습니다.1. "거직조제왕(擧直錯諸枉)" – 올바른 사람을 세워라"곧은 사람(正直한 .. 더보기
논어 위정편 18절 – "많이 듣고 신중히 말하며, 많이 보고 신중히 행동하라"(多聞闕疑) 논어 위정편 18절 원문과 해석📖 원문子張學干祿 子曰 多聞闕疑 慎言其餘則寡尤 多見闕殆 慎行其餘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자장학간록, 자왈: 다문궐의, 신언기여즉과우, 다견궐태, 신행기여즉과회, 언과우, 행과회, 록재기중의.)📜 해석자장이 벼슬을 구하는 법을 배우고자 하자,공자께서 말씀하셨다."많이 듣되, 의심스러운 것은 버리고, 나머지는 신중하게 말하면 실수가 적어진다.많이 보되, 위험한 것은 버리고, 나머지는 신중하게 행동하면 후회가 적어진다.말에 실수가 적고, 행동에 후회가 적다면, 벼슬은 그 속에 있는 것이다.""신중한 태도가 성공을 만든다" – 공자의 핵심 메시지공자는 벼슬을 얻는 방법을 직접적으로 가르쳐 주는 대신,어떻게 하면 사회에서 신뢰받고 인정받는 사람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원칙.. 더보기
논어 위정편 17절 –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진정한 앎이다"(知之爲知之) 논어 위정편 17절 원문과 해석📖 원문子曰 由 誨女知之乎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자왈: 유, 회여지지호? 지지를 지지라 하고, 부지를 부지라 하니, 시지야.)📜 해석공자께서 말씀하셨다."자로야, 내가 너에게 참된 앎에 대해 가르쳐 주겠다.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진정한 앎이다.""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 진정한 지혜란 무엇인가?공자는 여기서 "지식이란 단순히 많이 아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지식과 무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1. "지지위지지(知之爲知之)" – 아는 것은 안다고 하라자신이 확실히 알고 있는 것은 주저하지 말고 안다고 인정하라.그러나 단순히 정보만 암기한 것이 아니라, 정말로 이해하고 있는가?를 자문해야 한다.✅ 현대적 해석: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