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가 말하는 진짜 공부, 삶으로 실천하는 학문-논어 학이편 1장15절
논어 학이편 1장 15절 해석, 발음, 주석📖 원문子貢曰: 貧而無諂하며, 富而無驕하면, 何如하니?子曰: 可也나. 未若貧而樂하며, 富而好禮者也이니라.子貢曰: 詩云, "如切如磋하며, 如琢如磨라하니", 其斯之謂與인저?子曰: 賜也는, 始可與言詩已矣이로다. 告諸往而知來者인저.🗣️ 발음 (한자 독음)자공왈: 빈이무첨하며 , 부이무교하면 , 하여하니 ?자왈: 가야나 . 미약빈이락하며 , 부이호례자야이니라 .자공왈: 시운, "여절여차하며 , 여탁여마라하니 ", 기사지위여인저 ?자왈: 사야는 , 시가여언시이의이로다 . 고제왕이지래자인저 .🔍 해석자공이 묻기를,"가난하면서도 아첨하지 않고, 부유하면서도 교만하지 않다면 어떻습니까?"공자가 대답하셨다."괜찮다. 하지만 가난하면서도 즐거워하고, 부유하면서도 예(禮)를 좋..
더보기
공자가 가르쳐주는 배움의 조건: 실천과 올바른 자세-논어 학이편 1장 14절
논어 학이편 1장 14절 해석, 발음, 주석📖 원문子曰: 君子는 食無求飽하며, 居無求安하며, 敏於事而愼於言이니, 就有道而正焉이면, 可謂好學也已이니라.🗣️ 발음 (한자 독음)자왈: 군자는 식무구포하며, 거무구안 하며 , 민어사이신어언 이니 , 취유도이정언 이면 , 가위호학야이 이니라 .🔍 해석공자가 말씀하셨다."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고, 거처함에 편안함을 구하지 않는다.일에는 민첩하고, 말에는 신중하며, 도(道)가 있는 사람을 찾아가 배우고 자신을 바르게 한다.이것이야말로 학문을 좋아한다고 할 수 있다."이 구절은 공자가 군자의 삶과 학문의 자세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진정한 배움의 태도가 어떤 것인지를 강조하고 있다.즉, 학문이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인격을 닦고 삶을 바르게 하..
더보기
논어 학이편 1장 6절 원문과 해석
📋 목차논어 학이편 1장 6절 원문과 해석핵심 덕목과 의미현대적 적용과 시사점FAQ논어 학이편 1장 6절 원문과 해석📌 원문子曰, “弟子 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자왈, 제자 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이친인, 행유여력, 즉이학문. 📖 해석공자께서 말씀하셨다."젊은이(제자)는 집에 들어가서는 효도하고, 밖에서는 공손하며, 행동을 삼가고 신의를 지키며, 널리 사람들을 사랑하고 어진 이를 가까이해야 해. 그리고 이러한 도리를 실천하고도 여력이 있다면, 비로소 글을 배워야 해."핵심 덕목과 의미이 구절은 유학의 핵심 덕목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특히 인격 수양과 학문 탐구의 순서를 설명하고 있어요.🔹 "弟子(제자)" 여기서 "제자(弟子)"는 단순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