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위정편 14절 – 군자는 두루 어울리되, 편을 가르지 않는다(君子周而不比)
논어 위정편 14절 원문과 해석📖 원문子曰 君子周而不比 小人比而不周(자왈: 군자주이불비 소인비이부주)📜 해석공자께서 말씀하셨다."군자는 두루 화합하되, 편을 가르지 않으며,소인은 편을 가르되, 두루 화합하지 않는다."군자와 소인의 차이 – "두루 어울리되, 편을 가르지 않는다"1. 군자(君子)는 "두루 화합(周)하되, 편을 가르지 않는다(不比)"군자는 특정한 그룹이나 편견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합니다.그러나 불의(不義)한 관계는 맺지 않으며, 올바른 원칙을 지키는 태도를 유지합니다.군자는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만, 부당한 연줄을 만들거나 이익을 위해 끼리끼리 뭉치는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현대적 해석직장에서 다양한 동료들과 소통하되, 특정 그룹에만 의존하지 않고 공정한 ..
더보기
공자가 가르쳐주는 배움의 조건: 실천과 올바른 자세-논어 학이편 1장 14절
논어 학이편 1장 14절 해석, 발음, 주석📖 원문子曰: 君子는 食無求飽하며, 居無求安하며, 敏於事而愼於言이니, 就有道而正焉이면, 可謂好學也已이니라.🗣️ 발음 (한자 독음)자왈: 군자는 식무구포하며, 거무구안 하며 , 민어사이신어언 이니 , 취유도이정언 이면 , 가위호학야이 이니라 .🔍 해석공자가 말씀하셨다."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고, 거처함에 편안함을 구하지 않는다.일에는 민첩하고, 말에는 신중하며, 도(道)가 있는 사람을 찾아가 배우고 자신을 바르게 한다.이것이야말로 학문을 좋아한다고 할 수 있다."이 구절은 공자가 군자의 삶과 학문의 자세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진정한 배움의 태도가 어떤 것인지를 강조하고 있다.즉, 학문이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인격을 닦고 삶을 바르게 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