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논어 위정편 18절 – "많이 듣고 신중히 말하며, 많이 보고 신중히 행동하라"(多聞闕疑)

반응형

논어 위정편 18절 원문과 해석

📖 원문
子張學干祿 子曰 多聞闕疑 慎言其餘則寡尤 多見闕殆 慎行其餘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
(자장학간록, 자왈: 다문궐의, 신언기여즉과우, 다견궐태, 신행기여즉과회, 언과우, 행과회, 록재기중의.)

📜 해석
자장이 벼슬을 구하는 법을 배우고자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많이 듣되, 의심스러운 것은 버리고, 나머지는 신중하게 말하면 실수가 적어진다.
많이 보되, 위험한 것은 버리고, 나머지는 신중하게 행동하면 후회가 적어진다.
말에 실수가 적고, 행동에 후회가 적다면, 벼슬은 그 속에 있는 것이다."

"신중한 태도가 성공을 만든다" – 공자의 핵심 메시지

공자는 벼슬을 얻는 방법을 직접적으로 가르쳐 주는 대신,
어떻게 하면 사회에서 신뢰받고 인정받는 사람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원칙을 설명했습니다.

1. "많이 듣고, 의심스러운 것은 버려라" (多聞闕疑, 다문궐의)

  • 지식을 쌓으려면 많이 들어야 하지만, 모든 정보를 무조건 받아들이면 안 된다.
  • 확실하지 않은 정보나 의심스러운 내용은 걸러내고, 신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 이렇게 하면 잘못된 정보를 퍼뜨릴 위험이 줄어든다.

현대적 해석:

  • 인터넷과 SNS에서 수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지만,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그대로 믿으면 위험하다.
  • "이 뉴스가 사실일까?"라고 한 번 더 생각하고, 출처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 예시:

  • SNS에서 본 정보를 무조건 믿지 말고, 다양한 출처를 확인하라.
  • 회사에서 보고를 받을 때, 중요한 핵심을 파악하고 불확실한 것은 검증하라.

2. "말을 신중하게 하면 실수가 적어진다" (慎言其餘則寡尤, 신언기여즉과우)

  • 말을 함부로 하면 실수가 많아진다.
  • 확실한 정보만을 바탕으로 말하고, 필요 없는 말은 줄이면 신뢰를 얻을 수 있다.

현대적 해석:

  • 직장이나 인간관계에서 말을 신중하게 하면 신뢰받는 사람이 된다.
  • 감정적으로 말하거나,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퍼뜨리면 오히려 신뢰를 잃는다.

📌 예시:

  • 회의 중에는 신중하게 발언하고, 험담이나 가십은 삼가라.
  • 감정적으로 말하기 전에 한 번 더 생각하고, 논리적으로 표현하라.

3. "많이 보고, 위험한 것은 피하라" (多見闕殆, 다견궐태)

  • 경험이 많아야 하지만, 무모한 행동을 하면 오히려 해가 된다.
  • 위험한 일이나 무리한 도전은 피하고, 신중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

현대적 해석:

  • 다양한 경험을 쌓되,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무리한 투자나 검증되지 않은 사업에 뛰어드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 예시:

  • 투자를 하기 전에 충분한 분석과 검토를 하라.
  • 경험을 쌓되, 잘못된 길로 빠지지 않도록 신중하게 판단하라.

4. "행동을 신중하게 하면 후회가 적다" (慎行其餘則寡悔, 신행기여즉과회)

  • 충동적으로 행동하지 말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 즉흥적인 판단은 나중에 후회를 남길 가능성이 크다.

현대적 해석:

  •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감정적으로 하지 말고, 충분한 고민과 검토 후 행동해야 한다.
  • "이 선택이 나중에 후회로 남지 않을까?"라고 한 번 더 생각해 보자.

📌 예시:

  • 직장을 그만두기 전에, 다음 계획을 충분히 세우고 결정하라.
  • 인간관계에서 감정적으로 행동하지 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각하라.

5. "말과 행동이 신중하면, 성공(벼슬)은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祿在其中矣, 록재기중의)

  • 공자는 벼슬(성공)은 외적인 것을 좇아서 얻는 것이 아니라, 내적인 자질을 갖추었을 때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즉, 신중한 말과 행동을 실천하면, 결국 사회에서 인정받고 기회를 얻게 된다.

현대적 해석:

  • 직장, 사업, 인간관계에서도 신뢰받는 사람이 되면 자연스럽게 기회가 찾아온다.
  • 억지로 성공을 좇기보다는, 스스로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우선이다.

📌 예시:

  • 직장에서 성실하고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면, 승진과 기회는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 사람들에게 신뢰를 얻으면, 좋은 인맥과 기회가 연결된다.

"공자의 가르침"을 통해 배우는 인생의 교훈

  • 많이 듣되, 의심스러운 것은 버려라.
    • 신중하게 정보를 걸러내고, 확실한 것만 받아들여라.
  • 말을 신중하게 하라.
    • 쓸데없는 말은 줄이고, 사실에 기반한 말만 하라.
  • 경험을 쌓되, 위험한 것은 피하라.
    • 다양한 경험을 하되, 신중하게 행동하라.
  • 행동을 신중하게 하면 후회가 적다.
    • 충동적으로 결정하지 말고, 깊이 고민한 후 실행하라.
  • 성공은 신뢰에서 나온다.
    • 신중한 말과 행동을 하면, 결국 사회에서 인정받고 기회를 얻게 된다.

마무리하며

논어 위정편 18절에서 공자는 "벼슬(성공)은 신중한 태도에서 나온다"고 강조했습니다.
오늘날 사회에서도 신뢰받고 인정받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말과 행동에서 실수를 줄이고,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여러분은 신중한 말과 행동을 실천하고 있나요?
오늘부터라도 "많이 듣고, 신중히 말하고, 많이 보고, 신중히 행동하는 습관"을 실천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


📌 연관 질문 (FAQ)

1. "다문궐의, 신언기여즉과우"를 직장 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 불확실한 정보를 퍼뜨리지 않고, 신중한 태도로 말하면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공자는 왜 신중함을 강조했나요?
👉 신중한 사람은 실수가 적고, 결국 사회에서 인정받고 성공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