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간 Issues

경상북도 산림 지역에서 서울 면적 80% 규모의 농가 피해 발생 시 복구 예산 분석(충분한 재난예비비란 것은 존재 할 수가 없다...)

반응형

경상북도 산림 지역에서 서울 면적 80% 규모의 농가 피해 발생 시 복구 예산 분석

1. 전제 조건 정리

  • 면적 기준: 서울시 전체 면적 605.2㎢의 80%인 약 484.16㎢
  • 지역 특성: 의성·청송·봉화·영양 등 경북 동북부의 산간 농촌 지역 중심
  • 피해 유형: 대형 산불로 인한 농가 주택·축사·농기계·농작물 피해, 산림 소실, 농로 및 급수 시설 파괴 등
  • 복구 대상: 산림, 농경지, 주택(농가), 도로(농로), 급수로 등 지역 생활 기반 전반 포함

2. 항목별 복구 단가 기준 (㎢당 단가)

복구 항목 평균 단가(억 원/㎢) 설명
산림 복원 12억 방재림 조성, 조림 및 생태 복구, 사방댐 설치 등 포함
농경지 복구 20억 논밭·과수원 재정비, 비닐하우스·관개시설 복구 등
농가 주택 복구 30억 단층·노후 주택 중심으로 일부 신축 포함
축사 및 농기계 복구 10억 축사 철거·신축, 트랙터·경운기 등 장비 지원
농로·급수로 등 기반시설 8억 농로 포장, 관정 복구, 소규모 교량 등 포함
이재민 지원 및 임시거주 5억 임시 거주용 컨테이너, 급식·응급 의료 제공 등

총 평균 복구 단가: 85억 원/㎢

3. 서울 면적의 80%(484.16㎢) 피해 발생 시 총 복구 예산

  • 85억 원 × 484.16㎢ = 약 4조 1,153억 원

이는 단일 재난으로 정부 재난예비비(약 2조 원)의 2배 이상으로, 국가적 차원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4. 복구 예산 비교 – 도심 vs 농촌

구분 면적 단가(억 원/㎢) 총예산 추정 특징
서울 도심 화재 484.16㎢ 약 1,230억 약 47조 6천억 고층 건물, 전력·통신 복구, 지하 인프라
경북 산림 농가 화재 484.16㎢ 약 85억 약 4조 1천억 저층 주택, 농경지, 산림 중심 복구

→ 약 11.5배의 복구 예산 차이 발생

5. 예산 조달 관점 분석

  • 2024년 기준 화재 대응 예산 1,820억 원 → 피해 시뮬레이션 대비 약 4.4% 수준
  • 중앙정부 추경 편성 필수
  • 지방정부는 독자적 대응 불가

6. 복구 우선순위 시나리오 (예산 절감형 대응)

  1. 이재민 임시 거주 지원
  2. 농가 주택 및 축사 복구
  3. 농경지 재정비 및 작물 손실 보전
  4. 산림 복구는 단계적 중장기 계획 수립

7. 결론

  • 484.16㎢ 피해 시 약 4조 1천억 원 복구 예산 필요
  • 현 정부 재난예비비의 2배 이상
  • 지방 대응 역량 한계 → 국가적 대응 시스템 필수
  • 도심보다 단가는 낮지만 면적이 넓어 총비용은 막대

연관 질문과 답변

Q1. 산림 피해는 왜 복구비가 도심보다 저렴한가요?

산림 복구는 고층 건물, 지하 인프라 등 복잡한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단가가 낮습니다. 하지만 피해 면적이 수백㎢에 달하면 전체 예산은 커질 수밖에 없고, 복구에는 수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Q2. 모든 산불 피해지를 다 복구하나요?

전체 지역 복구는 어렵습니다. 접근성, 경제성, 거주 인구를 고려해 생활권 인근과 경제림 위주로 우선 복구가 진행되며, 나머지 지역은 자연 복원에 맡기거나 중장기 복구 계획에 포함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