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어

논어 학이편 1장 6절 원문과 해석

반응형

논어 학이편 1장 6절 원문과 해석

📌 원문

子曰, “弟子 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자왈,  제자   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이친인,   행유여력, 즉이학문.

 

📖 해석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젊은이(제자)는 집에 들어가서는 효도하고, 밖에서는 공손하며, 행동을 삼가고 신의를 지키며, 널리 사람들을 사랑하고 어진 이를 가까이해야 해. 그리고 이러한 도리를 실천하고도 여력이 있다면, 비로소 글을 배워야 해."

핵심 덕목과 의미

이 구절은 유학의 핵심 덕목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특히 인격 수양과 학문 탐구의 순서를 설명하고 있어요.

🔹 "弟子(제자)"
여기서 "제자(弟子)"는 단순히 스승에게 배우는 학생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젊은이 또는 배우는 사람을 통칭하는 말이에요.

🔹 "入則孝, 出則弟" (집에서는 효도하고, 밖에서는 공손하게)
유교에서 효(孝)는 인간관계의 근본이며, 윤리적 실천의 출발점이에요. 또한 사회에서는 예의를 갖추고 행동해야 해요.

🔹 "謹而信" (언행을 삼가고 신의를 지킨다)
"謹(근)"은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행동하는 것을 뜻해요.
"信(신)"은 신뢰와 성실함을 의미하며, 말과 행동이 일치해야 한다는 도덕적 가르침이죠.

🔹 "汎愛衆而親仁" (널리 사람들을 사랑하고 어진 이를 가까이해야 한다)
"汎愛衆(범애중)"은 모든 사람을 차별 없이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예요.
"親仁(친인)"은 인(仁)을 실천하는 사람을 가까이해야 한다는 뜻이에요.

🔹 "行有餘力 則以學文" (도덕적 실천을 우선한 후, 여력이 있으면 학문을 익혀라)
공자는 학문을 배우기 전에 먼저 인간다운 삶을 실천해야 한다고 가르쳤어요.

현대적 적용과 시사점

💡 인격 형성이 우선이다
학문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간적인 도리를 먼저 익혀야 해요.

💡 효(孝)와 공경(敬)의 중요성
가족을 존중하고 사회에서도 타인을 배려하는 태도가 필요해요.

💡 신뢰와 성실함의 가치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도 언행일치가 중요한 가치예요.

💡 배움과 실천의 조화
단순히 공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배운 것을 실천하는 것이 진정한 배움이에요.

FAQ

Q1. 논어 학이편 1장 전체 내용은 어떻게 되나요?

A1. 논어 학이편 1장은 공자의 학문과 도덕에 대한 기본적인 가르침을 담고 있으며, 총 16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Q2. "行有餘力 則以學文"은 어떤 의미인가요?

A2. 이는 "도덕적 실천을 우선하고, 남는 힘이 있으면 학문을 익혀라"는 뜻이에요.

Q3. 현대 사회에서 "親仁"은 어떻게 적용할 수 있나요?

A3. 좋은 사람들과 교류하고, 인격적으로 훌륭한 사람을 롤모델로 삼으면 돼요.

Q4. "入則孝, 出則弟"는 왜 중요한가요?

A4. 가정에서의 도덕이 사회에서의 윤리로 확장된다는 점을 보여줘요.

Q5. 공자가 강조한 효(孝)와 현대적 해석은?

A5. 가족과의 유대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할 수 있어요.

Q6. 논어를 어떻게 공부하는 것이 좋을까요?

A6. 원문을 읽고, 뜻을 해석한 후, 실생활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것이 좋아요.

반응형